
우리나라는 이 개천설을 어떻게 생각했을까?

태조 4년 제작
하늘을 12등분한 후 1,467개의 별들을 점으로 표시하였다.
이 그림을 통해 해, 달, 5행성(수성, 금성, 토성, 화성, 목성)의 움직임을 알 수 있고, 그 위치에 따라 절기를 구분할 수도 있다.

태조 4년(1395)에 제작된 이 석각 천문도는 중국 남송의
『순우천문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것이다.
해당 석상에는 당시 제작한 사람들의 이름과
조선학자 권근이 쓴
여기서 혼천설은 이런느낌이고

개천설은 이런 느낌이다

그리고 조선의 학자 권근은
『천상열차분야지도』에 이렇게 적었다.
“전통적으로 우주관에는 6가지가 있는데
전통적 우주관은 혼천설이 옳고,
개천설은 학자들의 지지를 받지 못했다
개천설을 포함한 나머지 5가지는
본받을 이론이 못 된다.”

혼천설은 비록 천동설 기반 이지만
정교한 달력제작이나 천체운동을 설명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왜…21세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