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딥마인드에서 만든
알파 이볼브 라는게 있음


데이터 센터 + TPU + 잼미니 Ai 로 구성된
문제해결 전용 Ai임
사용자가 정의한 문제의 답을 최대한 열심히 찾아냄
잼미니 + 진화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문제에 대한 프로그래밍적 해법을 제시하고 테스트하며 개선하는 방식
현재 67개의 수학문제를 대상으로 여러 해법을 진행했고
인류가 발견한 최고 결과치보다 비슷하거나 더 좋은 결과를 도출중
초록은 새로운 결과
파랑은 새로운 결과를 도출했고 그걸 바탕으로 사람이 개선시킨 것
빨강은 현시점 최고 결과에 도달 못함
하양은 최고기록에 도달함
회색은 이론적 최적이라고 결론낸 문제 해답에 도달함

바늘 회전시켜서 얼마나 작은 면적을 만드는가?
인데 2차원은 증명됐고 3차원도 거의 증명됨
근데
최소면적을 만드는건 만드는거고
그래서
이거 컴퓨터로 어떻게 최적화시켜서 표현함? 에 대해 풀음

바늘은 면적이 0이라 컴퓨터에는 표현못해서
삼각형이나 조각으로 표현해야되니 만들어진 문제인
유한개의 조각들을 사용하여 만들 수 있는 최소 면적은?
에 대한 질문임
인간이 만든 해답보다 더 나은 해결책을 찾음
그림7
위 인간답
아래 Ai답
그림8
위 인간답
아래 Ai답
벽돌을 쌓아 얼마나 많은 길이를 갈 수 있을까?
에 대한 공식은
이미 해결된 상태라서
알파이볼브가
새로운 발견을 한건 아니고
얘한테 공식을 안알려 준 상태에서
물리법칙만 적용시킨 후
찾아보라고 시켰더니
정답 공식을 찾음
효율 배치문제
그림21
주어진 공간에서 얼마나 점들을 멀리 떨어져 배치할 수 있을까?
인간이 찾은 n=12 n=50 에 대한 정답을 찾아냄
그림22
육각형 안에 작은 육각형 효율배치하여
큰 육각형 변의 길이를 최소화 시키는 문제
11개 작은 육각형일때 큰 육각형 변의 길이 3.931
12개는 3.942로
더 나은 정답 찾음
그림23
정육면체 내 작은 11개 정육면체를 배치할때 큰 정육면체의 최소 변길이
2.895로 기록 갱신
그림24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내에 크기 다른 원을 채울때 원들의 반지름 합이 최대가 되게 만들기
기록갱신
그림27
평면이나 3차원에서 점들을 배치할 때 가장 먼 점과 가까운 점의 비율을 최소화 하는 방법
갱신
그림28
3차원에서 무한히 긴 원기둥을 모두 접하게 만들기
왼쪽
동일 반지름 원기둥 7개가 접한다는 걸 발견
인간이 수개월 걸쳐서 만든 정답을 몇시간만에 찾음
오른쪽
반지름 다른 원기둥 9개 접한 배치

3차원 소파문제
특정 길을 지날 수 있는 소파의 최대 부피는?
인간이 만든거보다 큰거 찾음
위는 예시 몇개고 링크 들어가면
더 많은 문제가 설명되어 있어서
보다보면 재밋음